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정보 찾고 있나요?
2022년 기준 만 65세가 되는 출생연도는 1957년생입니다. 부모님이 나이 기준을 충족한다면 나라에서 주는 다양한 혜택 중 임플란트 지원이 크게 와닿을 것입니다. 부모님 치아가 없어 음식 씹기 힘들고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아 어떤 지원이 되는지 지식인에 많이 묻고 궁금해하고 있는데요.
이 글을 확인하면 구체적인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비용, 치아 전혀 없는 완전 무치악 건강 보험 적용 여부, 임플란트 무료 여부, 지식인에 많이 묻는 임플란트 궁금증 정리하여 노인 임플란트 정보로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정보
📌 65세 이상 어르신 놓치고 있는 정부 환급금 5가지 조회하기
📌 65세 이상 실업급여 신청 몇살까지 받을 수 있을까
📌 복지서비스 필수 제공! 고령자 복지주택 1순위 자격확인
<글 읽는 순서>
- 1.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원 대상 조건
- 2. 완전 무치악 보험 혜택 적용될까?
- 3. 65세 이상 임플란트 무료 맞나요?
- 4.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비율 및 비용 얼마?
- 5. 지식인에 많이 묻는 임플란트 질문 BEST 정리
1. 65세 이상 임플란트 지원 대상 조건
대한민국 국민으로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만 나이 기준 65세 이상이 되는 경우 평생 2개의 임플란트가 보험 비용으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국인,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만 나이 기준 65세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대상 아닙니다.
2. 완전 무치악 보험 혜택 적용될까?
2022년 3월부터 치아가 전혀 없는 65세 이상 노인도 보험 임플란트 적용 대상이 된다는 기사와 블로그 내용 많이 보았을 것입니다.
그러나! 2022년 12월 기준 현재 건강보험 공단에서는 치아가 1개도 없는 완전 무치악 상태의 환자에 대해 지원 혜택을 부여하지 않고 있습니다.
따라서 2023년에도 임플란트 대상은 최소 치아가 1개 이상 있을 경우 지원 대상이 됩니다.
3. 65세 이상 임플란트 무료 맞나요?
대한민국의 의료 복지 수준은 전 세계적으로 최고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부분에서 혜택이 증가하고 있어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혜택을 드리는 임플란트 지원 역시 무료가 아닐까 하는 기대가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무료가 아닙니다. 아래와 같이 본인부담금 비율이 10% ~ 30% 있어 비용을 부담해야 합니다.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비용 얼마나 부담하는지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4.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비율 및 비용 얼마?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1인 당 평생 지원받는 임플란트 개수 2개의 치아에 대해 나라에서 지원을 하여 주는데 대상자에 따라 혜택이 다르니 아래에서 확인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1) 대상자에 따른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비율
(1) 건강보험 가입자 (일반)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30% 본인부담
(2) 차상위 대상자
차상위 대상자는 아래와 같은 등급에 따라 다르게 비율을 적용합니다.
- 희귀난치성 질환자(C): 10%
- 만성질환자 등(E, F): 20%
따라서 차상위 대상자는 10% ~ 20% 비율을 부담합니다.
(3) 의료급여 대상자
의료급여 대상자는 아래와 같은 등급에 따라 다르게 비율을 적용합니다.
- 1종: 10%
- 2종: 20%
2) 평균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치료 비용 얼마
치과 의원 및 치과병원마다 임플란트 치료 비용이 천차만별이지만 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18년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자료를 바탕으로 알아보겠습니다.
2018년 기준 치과 병원 의원에서 치과 임플란트 치료 1개 시술할 경우 행위수가는 치과병원 1,158,790 원, 치과 의원 1,110,510 원입니다.
치아 임플란트 1개 시술할 경우 식립 비용 포함 아래와 같습니다.
- 치과 의원: 1,196, 150원
- 치과병원: 1,244, 430원
따라서 위와 같은 국가 산정기준 금액을 바탕으로 만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1개 비용을 확인하여 보겠습니다.
- 일반 가입자: 30% 기준 (358,845원 ~ 389,934원)
- 의료 2종: 20% 기준 (239,230원 ~ 259,956원)
- 의료 1종: 10% 기준 (119,615원 ~ 129,978원)
위와 같은 평균적 임플란트 금액 범위에서 노인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준비하면 됩니다.
5. 지식인에 많이 묻는 임플란트 질문 BEST 정리
임플란트 치료할 경우 병원 선택 정보는 아래를 참고 하세요.
1) 나이가 어리면 임플란트 어렵나요?
>> 성장 완료 후 임플란트 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성장기 청소년이 치아 손상을 입어 임플란트 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성장 중에 있는 청소년이 임플란트를 하는 경우 성장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서 자칫 임플란트 보철물의 모습이 인위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 시기보다 성인이 된 이후 권장 받고 있습니다.
2) 치아가 하나도 없어요. 보험 적용 대상인가요?
>> 완전 무치악은 건강보험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치아가 1개라도 있을 경우 보험 적용 대상이 되고, 하나도 없을 상태에서 임플란트 하는 경우 자부담입니다.
3) 외국산 임플란트 무조건 좋다?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대상의 확대로 대중적으로 임플란트 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좋아짐에 따라 국내 임플란트 산업도 기술이 높아져 국산과 외국산 질적 차이가 없어졌습니다.
최근에는 수입 보다 국산을 찾는 의료 소비자가 많은 상황입니다.
4) 건강보험 적용 임플란트 시 치료 중 다른 병원으로 이동할 수 있나요?
>> 병원 이동 불가능합니다.
병원 폐업과 같은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없을 경우에만 병원 이동이 가능하며, 이사 또는 불만족에 의한 병원 이동은 보험 임플란트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65세 이상 임플란트 본인부담금 치료 전 병원을 꼼꼼히 체크하여 선택해야 후회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