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조건 금액 신청방법 총정리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부터 교육급여 지급 방식이 현금 지급에서 바우처 카드 형태로 변경, 평균 지급액이 20% 인상되어 지급되는 등 많은 변화를 겪습니다. 올해부터 변경되는 교육급여 바우처에 대한 궁금증 많을 것입니다.

이 글을 3분 정도 확인하면 2023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자격 조건, 지급 금액, 신청방법, 사용처 등으로 글을 구성하여 교육급여 신청을 고민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관련 글

📌 2023년 중위소득표 확인 방법

📌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주거급여 조건, 신청방법

📌 2023년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조건, 신청방법

📌 2023년 평생교육 바우처 신청방법

📌 2025년 1인 가구 생계 급여 조건, 지급액, 신청 총정리


1. 교육급여 바우처 조건 신청 자격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자격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자녀가 있는 가구가 대상입니다.

1) 중위소득 50% 이하

2023년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별 월 소득은 다음과 같습니다.

  • 1인 가구: 1,038,946 원
  • 2인 가구: 1,728,078 원
  • 3인 가구: 2,217,408 원
  • 4인 가구: 2,700,482 원
  • 5인 가구: 3,165,344 원
  • 6인 가구: 3,613,991 원

2) 신청 대상자

  • 학생 본인 신청: 만 14세 이상 교육급여 수급 학생 본인만 신청 가능.
  • 학생 대리인 신청: 만 14세 이하 학생의 세대주 또는 성인 세대원.
  • 자녀가 2인 이상의 경우: 첫째 부친, 둘째 모친 신청 가능(보호자 1인이 여러 자녀 신청 시 오류 발생함.)

3) 신청 기간

  • 기존 교육급여 수급권자: 2023년 3월 2일 (목요일) ~ 2023년 3월 20일 (월요일)
  • 신규 교육급여 수급권자: 2023년 3월 29일 (수요일) ~ 2024년 6월 28일 (금요일)

2.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금액 혜택

2022년까지 교육급여 대상자는 계좌로 현금 지급되었습니다. 올해 2023년부터 카드 포인트 방식으로 교육 활동비를 지급받습니다. 또한 지난해 대비 평균 20% 인상된 금액이 지급됩니다.

  • 초등학생: 연 415,000 원
  • 중학생: 연 589,000 원
  • 고등학생: 연 654,000 원

바우처 사용 금액은 카드사 전월 실적에 포함됩니다. 교육급여 바우처로 지급된 금액은 현금 전환 불가능합니다.


3.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방법

1) 최초 신청 시 절차

  • 시청, 군청, 구청: 소득 및 재산조사 실시.
  • 학교: 학생 재학 여부 확인 및 급여 보장 대상자 결정하여 신청인에게 결과 통지.
  • 교육청: 매월 급여 대상자 확정.

바우처 대상자로 확정되면 다음의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 홈페이지 접속합니다. 신청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2)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신청 절차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 신청 >>

  •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 홈페이지 접속
  • 학생 본인 사전 등록 또는 학부모 등 대리 사전 등록 선택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약관에 동의 체크
  • 신청인 본인 인증 완료
  • 신청인, 학생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 입력
  • 지급 수단 선택(배정 희망 카드사 또는 선불카드)
  • 신청 완료 (알림 톡 통지)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누리집 홈페이지 바우처 신청하기 클릭

4. 바우처 지급 수단

바우처 신청인 명의로 된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에 직접 충전 또는 충전된 선불카드로 지급합니다.

바우처 홈페이지에서 신청 시 2일 ~ 5일 이내 포인트로 충전됩니다.

바우처 이용 가능 카드사

  • 신용카드: KB 국민, NH농협, 삼성, 롯데, 신한, 우리, 하나, 현대카드
  • BC, KB 국민 제휴 카드: IBK 기업은행, 새마을금고, 수협은행, 우체국, 신협, 광주은행, 부산은행, 제주은행, 전북은행

5. 2023년 교육급여 바우처 사용처

교육급여 바우처 카드는 학생의 교육 활동에 도움이 되는 물품 또는 서비스 제공하는 사용처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1) 사용 가능 바우처 업종

  • 부교재
  • 학용품
  • EBS 교재
  • 평생교육 사용처 등록된 학원 및 가맹점

사용 불가능 바우처 업종을 제외한 대다수의 장소에서 사용 가능.

2) 사용 불가능 바우처 업종

  • 유흥, 사행업종
  • 청소년 출입 불가 장소
  • 상품권 성인 용품 판매점
  • 위생업종

3) 바우처 사용 기한

바우처 배정일로부터 2024년 8월 31일 토요일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 기한까지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전액 소멸됩니다.


6. 함께 보면 돈 되는 정보

📌 국민연금 환급금 조회하기

📌 평균 136만 원 지급 건강보험 환급금 조회하기

📌 평균 800만 지급! 부모급여 신청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