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신청 지식인 BEST 4 질문 정리

청년도약계좌 신청 정보 찾고 있나요?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도입된 청년희망적금이 폐지되고 새롭게 도입되는 청년도약계좌 5년 불입하면 진짜 5,000만 원 주는지, 내가 대상자가 되는지 또 언제부터 신청이 가능하고 신청방법 어떻게 되는지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이 글을 확인하면 지식인에 많이 묻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언제부터 신청 가능한지,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되는지 쉽게 정리하여 궁금증을 해결하여 드리겠습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정보

📌 최소 100만 원! 의외로 모르는 정부 환급금 5가지 조회하기

📌 매월 10만 3년 1040만 원 지급 청년희망저축계좌 신청방법

📌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방법 (1유형, 2유형)

📌 졸업증명서 온라인 발급 방법



1. 청년도약계좌 언제부터 신청 가능?

청년도약계좌는 대선 공약으로 나온 정책으로 청년층의 자산 형성 기회를 주기 위한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2023년 예산안에 3,528억의 예산을 책정하여 반영하였습니다.

2023년 6월 만나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역시 2023년 6월 시작됩니다.


2.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대상자?

청년도약계좌 신청 필요한 가입 조건 충족하기 위해서는 아래의 3가지(나이, 개인소득, 가구 소득) 모두 충족해야 신청 자격이 주어집니다.

1) 나이 기준

만 19세 ~ 34세 청년 대상자입니다. (단, 군대를 2년 다녀왔다면 36세도 지원 가능합니다.)

이때의 조건에는 미혼 또는 기혼 여부는 무관합니다.

2) 개인 소득 기준

연 소득 6,000만 원 이하

3) 가구 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2023년 가구 중위 소득표는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필요한 중위소득 180% 기준표
2023년 중위소득표

3. 청년도약계좌 5,000만 원 가능?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충족하여 가입 후 매달 40만 원 ~ 70만 원 저축하면 정부에서 지원하는 자금과 은행 이자를 합산하여 5년 이후 최대 5천 가능하다고 홍보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실제 가능하려면 얼마 불입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하여 보겠습니다.

1) 매달 40만 원 저축할 경우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중 하나가 바로 최소 납입금액이 바로 40만 원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의 비율(=매칭률)은 4% ~ 6%로 설정되어 있으며 납입자의 소득 구간에 따라 금융상품이 설계될 예정으로 은행 금리는 현재 확정된 바 없지만 5%로 가정한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달 40만 원 5년(60개월) 저축하면 원금은 2,400만 원 + 정부의 기여금 및 은행 이자를 합산하면 평균 386만 ~ 467만 수익이 발생합니다.

2) 매달 50만 원 저축할 경우

현재 경제 신문 소식에 의하면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갖춘 납입자의 소득이 낮을수록 정부에서 지원하는 지원금의 비율(매칭률)은 최대 6%로 책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매달 50만 원 저축한다면 순수 만기 금액은 3,000만 원이 되며 매칭률에 의해 평균 482만 ~ 584만 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3) 매달 60만 원 저축할 경우

매달 60만 원을 5년간 저축하면 납입한 원금은 3,600만 원이 되며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를 합산할 경우 평균 579만 ~ 700만 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4) 매달 70만 원 저축할 경우

매달 70만 원을 5년간 저축하면 납입한 원금은 4,200만 원이 되며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를 합산할 경우 평균 8,177,750원이 발생하며 드디어 50,177,750원이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5,000만 원 완성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내가 불입하는 저축 금액: 매달 40만 ~ 70만 원 5년 저축하는 것으로 저축 금액 선택 가능
  • 정부 기여금: 정부에서 지원하는 금액으로 최대 6% 기준을 편성할 계획으로 소득 구간에 따라 3% ~ 6% 차등 적용한다고 합니다. 즉 3,000만 이하의 경우: 6% / 4,000만 이하의 경우: 5% / 5,000만 이하의 경우: 4% / 6,000만 이하의 경우: 3%

따라서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 갖춘 대상자가 매달 700,000원 5년 불입하고 매칭률 6% 적용할 경우 50,000,000 넘는 금액이 통장에 찍힐 수 있습니다.


4.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위해 먼저 도입된 청년희망적금의 비과세 혜택이 종료되어 내년부터 상품이 사라집니다. 따라서 청년희망적금 가입은 현재 불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자가 청년도약계좌 중복으로 가입할 수 있는지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2022년 12월 현재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부 결정이 나지 않았습니다.

결정 소식이 나오면 새롭게 정보를 업데이트하겠습니다.


5. 결론

청년도약계좌 언제부터 가입할 수 있는지 가입기간 궁금할 것입니다. 2023년 6월 이후 하반기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나이 조건, 개인 소득, 가구 소득 조건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5년 후 5,000만 원 받기 위해서는 매월 70만 원 불입하고 매칭률 최대 6% 적용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 가입 여부 아직 확정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