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자 알아보기 (지역별 포함)

난방비 긴급 지원금 정보 찾고 있나요?

1년 전 겨울과 비슷하게 도시가스를 작동하여 사용하였는데 저희 집도 2배가 나왔습니다. 그야말로 “난방비 폭탄”이라는 말이 어울릴 만큼 재난급 추위에도 보일러 가동을 주춤하게 만드는 상황에서 정부가 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을 확대한다고 발표하여 우리 집이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 많이 궁금할 것입니다.

이 글은 정부에서 발표한 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 및 시도 지역별 난방비 지원정책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는 서둘러 난방비 지원 신청을 하여 혜택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도움 되는 정보

📌 국민 50% 모르는 정부 환급금 BEST 5 (최소 100만 ~)

📌 지역난방 요금 계산기 30% 줄이는 방법

📌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환급 신청하기 (신청 마감 임박)

📌 2023년 친환경 보일러 지원금 신청하기 (난방비 30% 절감은 덤)


1. 정부 지원 에너지 바우처 대상

1월 31일 정부는 에너지 바우처 지원 금액을 기존의 15만 2000원에서 30만 4,000원으로 2배 인상하여 지급합니다.

1) 에너지 바우처 지원 대상

기초 생활 보장 법상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수급자 중 아래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에너지 바우처 지급 대상입니다.

  • 만 65세 이상 노인 (195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영유아 (2016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 장애인 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 임산부 (임신 중 또는 분만 후 6개월 미만 여성)
  • 한 부모가족
  • 소년소녀가정
  • 차상위 가구 (23년 1월 31일 포함)
연합뉴스 기사 제목: 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에 차상위계층 포함:
이미지 출처: 연합뉴스

에너지 바우처 혜택을 받는 대상자는 기초생활수급자 170만 가구 및 차상위 가구 32만 가구 포함 총 202만 가구가 30만 4,000원을 지급받습니다.

2) 에너지 바우처 신청 기간

2023년 2월 28일까지 에너지 바우처 신청을 해야 합니다.

3) 신청 방법

에너지 바우처 신청하기 👆

에너지 바우처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신청 단계: 읍면동 주민센터 신청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신청
  2. 선정 단계: 시군 구청은 대상 세대 선정 및 지급 결정 사실 통보
  3. 지급 단계: 시군 구청은 바우처 발급기관에 대상자 및 지원액 정보 전달
  4. 사용/정산 단계: 바우처 대상자 사용 및 바우처 발급기관을 통해 정산
  5. 사후관리: 이의신청 관리 및 부정한 사용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가동

2. 지역별 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자

1) 서울시 지원 대책

  1. 기초 생활 수급 가구 30만 가구에 대해 10만 원을 지급.
  2. 사회복지 기관 900곳에 월 100만 원 ~ 월 1000만 원을 면적에 따라 지급.
  3. 소규모 복지시설은 월 30만 ~ 60만 차등 지원.
  4. 경로당 1,500 곳에 난방비 지원.

2) 경기도 지원 대책

  1. 기초 생활 수급 가구 중 노인 가구, 장애인 가구 대상으로 1월 ~ 2월 20만 원 지급.
  2. 한파 쉼터(경로당), 지역아동센터 1월 2월 40만 원 지급.

신청방법은 1월 30일 이후 2월 초 경기도 난방비 긴급 지원금 대상자 계좌로 난방비를 자동으로 지급할 예정으로 별도의 신청은 없습니다.

3) 대전시 지원 대책

  1. 정부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된 기초수급 가구에 월 15만 원씩 2개월 지원.
  2. 사회복지시설 중 추가 난방비 지원 제외된 법인에 규모에 따라 월 100만 원씩 2개월 지원.
  3. 한파 쉼터(경로당) 월 10만 원씩 2개월 지원.

4) 광주시 지원 대책

  1. 5세 이하 영유아 가구 난방비 20만 원 지원.
  2. 어린이집 890곳에 80만 원 지원.
  3. 경로당 205만 원 지원.
  4. 위생업소 선정 식당에 3개월 난방비 분할 납부 시행 예정.

5) 대구시 지원 대책

  1. 정부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된 기초수급 가구 당 10만 원 지원.
  2. 차상위계층 10만 원 지원.
  3. 경로당 37만 원 지원.

6) 부산시 지원 대책

  1. 정부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된 저소득층 가구 당 10만 원 지원.
  2. 독거노인 대상 전기매트 지원.
  3. 경로당 2,436곳 27억 원 난방비 지원.

6) 충청북도 지원 대책

  1. 사회복지 시설 대상 30만 원 ~ 100만 원 지원.

7) 제주도 지원 대책

  1. 정부 지원하는 에너지 바우처 대상에서 제외된 생계, 의료 기초수급자 가구 당 10만 7,000원 지원.
  2. 복지 생활시설 업체 당 평균 97만 원 지원.

8) 난방비 긴급 지원금은 지역별 실시간 발표에 따라 계속 업데이트 중입니다.